
2022년부터 시작된 전기요금 현실화 조치에 따라 소상공인의 전기요금 부담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전기요금 특별지원 예산을 2,520억 원을 마련해 영세 소산공인에게 최대 20만원을 지원합니다. 나는 20만 원을 받을 수 있을지 빠르게 확인해 볼까요? 소상공인 전기요금 지원대상 소상공인 전기요금 감면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업자등록증 상 개업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이며, 사업공고일인 2024년 2월 15일 국세청 조회 기준으로 폐업상태가 아니어야 합니다. ✅ 2024년 2월 15일 국세청 조회 기준으로, 2022년 혹은 2023년 연매출액이 3,0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 신청자의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정기의 용도는 일반용, 산업용, 농사용, 교육용, 주택용 ..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취업을 원하는 사람에게 취업지원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저소득 구직자에게는 생계를 위한 최소한의 소득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 자격요건을 갖춘 사람에게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관련 취업지원서비스와 수당을 지원합니다. 지금 바로 지원대상과 신청방법을 알아보도록 할까요? 지원내용 취업지원서비스 Ⅰ유형과 Ⅱ유형 참여자 모두에게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참여자와 고용센터 상담자가 심층 상담, 상호 협의를 통해 개인변 취업의 어려움을 함께 파악한 뒤 취업 능력에 따라 취업활동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용센터는 취업에 필요한 직업훈련, 일경험, 복지서비스 연계, 일자리 소개 등 각족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며 참여자의 구직확동을 지원합니다. 소득지원 Ⅰ유형 ..

서울시 병원안심동행 서비스는 시민이 아파서 병원동행이 필요한 경우, 병원으로 출발할 때부터 귀가할 때까지 전 과정에 동행매니저가 보호자처럼 동행하여 병원 이용 중 접수·수납·약국 동행 등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올해는 가정 내에서 도움받기 어려운 시민들을 위해 이용대상을 '도움이 필요한 모든 서울시민'으로 확대했습니다. 병원 안심동행서비스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서비스는 2021년 11월에 시작된 이후 2022년에는 연간 1만 건을 돌파했고, 시행 3년 차일 2023년은 전년 대비 65.5% 증가한 18,042건의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이용유형으로는 진료 동행이 41.7%로 가장 높았으며 투석, 재활 및 항암 치료, 검사 및 입퇴원 지원 등에도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도 건강검진에도 병원..

전략작물직불금은 기본형 공익직불금에 더해 식량자급률 제고, 쌀 수급안정 및 논 이용률 향상을 휘해 전략작물을 재배·관리하는 농업인에게 추가로 지급하는 직불금입니다. 여기서 전략작물이란 밀 콩 등 수입 의존성이 높거나 논에서 밥쌀용 벼 재배를 대체할 수 있어 논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작물을 말합니다. 전략작물직불금 신청을 2월 1일부터 시작한다고 하니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략작물직불금 신청방법 2023년도 처음 도입된 전략작물직불제에 7만 3천 농업인이 참여하여 밀 8.9천 ha, 가루쌀 2천 ha, 논콩 18.6천 ha, 하계조사료 5.3천 ha 등 12만 5천 ha를 재배하였습니다. 특히 13.4천 ha가 일반벼 재배에서 논콩, 가루쌀 및 하계조사료로 전환하여 쌀 수급안정 및 식량자급률 제고..